似而非사이비
似 닮을 사, 而 말 이을 이, 능히 능, 非 아닐 비/비방할 비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듯하지만 근본적(根本的)으로는 아주 다른 것
출전: 맹자(孟子)
사이비(似而非)는 공자(公子)의 말에서 유래(由來)했다. 만장(萬章)이 그의 스승 맹자(孟子)에게 물었다. 「온 고을이 다 그를 향원(鄕原:점잖은 사람)이라고 하면 어디를 가나 향원일 터인데 공자(孔子)께서 덕(德)의 도적이라고 하신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맹자(孟子)가 대답(對答)했다.
「비난(非難)을 하려 해도 비난(非難)할 것이 없고 공격(功擊)을 하려 해도 공격(功擊)할 것이 없다. 시대(時代)의 흐름에 함께 휩쓸리며 더러운 세상(世上)과 호흡을 같이 하여 그의 태도(態度)는 충실하고 신의가 있는 것 같으며 그의 행동(行動)은 청렴하고 결백한 것 같다. 모든 사람들도 그를 좋아하고 그 자신도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그와는 함께 참다운 성현의 길로 들어갈 수 없다. 그래서 덕의 도둑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공자(孔子)는 말씀하셨다. 「나는 같고도 아닌 것(似而非)을 미워한다.」라고.
즉, 그들은 꼬집어 비난(非難)할 구석이 없으며 언뜻 보기에는 청렴결백한 군자(君子)와 같으나, 실인즉 오직 세속에 빌붙어서 사람들을 감복케 하고, 칭찬(稱讚)을 받으며, 자신도 만족(滿足)한 삶을 누리는 것뿐 결코 성인(聖人)의 도를 행할 수 있는 인물(人物)이 아니라는 것이다. 그래서 공자(孔子)는 이들이야말로 '덕의 적'이라 하고 세상(世上)의 사이비한 인간(人間)을 미워한다.
돌피는 잡초에 불과하나 벼포기와 비슷한 까닭으로 더욱 성가시다. 수작이 능한 자를 미워함은 정의를 혼란(混亂)케 만드는 때문이요, 鄭(정)나라의 음악(音樂)을 미워함은 그것이 아악과 비슷한 관계(關係)로 향원을 증오하는 까닭은 그들이 덕을 어지럽게 한다는 데 있다고 갈파했다.
이단 異端
異 다를 이(리), 端 끝 단, 헐떡일 천, 홀 전
①자기(自己)가 믿는 이외(以外)의 도(道). 옳지 아니한 도
②전통(傳統)이나 권위(權威)에 반항(反抗)하는 설(說). 또는, 이론(理論). 시류(時流)에 어긋나는 사상(思想) 및 학설(學說)
③정통(正統) 이외(以外)의 설 또는 정통(正統)에서 벗어나 이의(異義)를 내세우는 설(說). 특(特)히, 기독교(基督敎) 중(中)에서 카톨릭 교회(敎會)로부터 공인(公認)되지 아니한 교파(敎派) 및 그 교의(敎義). 유교(儒敎)에서, 다른 사상(思想), 곧 노(老), 장(蔣), 양(楊), 묵(墨) 등(等)의 제자백가(諸子百家)를 일컫는 말. 외도(外道). 또는, 이안심(異安心)
--- 이상 인용 ---
요즘 언론에서 떠드는 사이비와 이단, 그것을 보는 관점이 매우 중요하게 느껴집니다. 법적 테두리 내에서의 사이비는 사익을 위해 남의 금전을 편취하거나 노동력을 착취하는 일체의 행위를 지칭함으로 생각 됩니다. 그리고 이단은 법적 테두리 내에선 존재할 수 없는 단어이지만 일각에선 사이비와 동등한 의미로 사용되어 여론을 호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사이비는 비단 종교뿐만 아니라 언론이나 기타 공인 받을 수 없는 수상한 목적의 단체까지 통침함이 타당하니 이단이란 자기 중심적인 관점의 단어보다 보편 타당성을 갖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러나 그렇게 정의를 부르지는 존재들 조차 시류와 타협하며 대를 위한 소의 희생 혹은 대의명분이란 거창한 가식 아래 개인의 삶과 명예를 종잇장처럼 가벼이 여긴다는 점에선 과연 이 사회의 누가 감히 이 단어를타인을 비난함에 사용할 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이 듭니다.
얼마 전 모 종교단체의 세습 문제로 떠들썩했습니다. 그러나 난 과연 그것이 우리들의 눈에 알려지고 비판을 받아야 할 대상인가에 대해선 심히 우려스럽습니다. 그리고 그들을 향해 이단이니 사이비니 하는 양은 마치 그 반대편에 선 자들이 국민적 공감을 얻은, 국교나 준하는 단체냐에 대해선 코웃음이 나옵니다.
물론 그들만의 리그에서 벌어진 선택의 문제이니 좌시하거나 모른 체 해야 한다는 건 아닙니다. 분명히 위법적인 요소들이 있으니 법의 작두 아래 단죄는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내가 보기 싫은 건 그 속에다 마치 자신의 정통 적자인양 나대는 꼬락서니도, 그리고 알아듣지도 못할 외계어 수준의 종교 언어를 나불대는 양은 마치 그들이 그토록 증오하는 소수성애자들의 축제마냥 역겨웠기 때문입니다.
종교는 지쳐 쉴 곳 없는 인간들의 마지막 안식처가 되는 것으로 족할 줄 알아야 반동의 물결을 만나지 않는 법입니다. 하지만 이 땅엔 어찌된 영문인지 나 아닌 누군가를 경외하는 무엇이든, 일단 들어와서 자리만 잡으면 기복과 합체되어 천상천하 유아독존격으로 군림하며 혹세무민과 곡학아세의 현란한 혓바닥으로 군중을 집단 최면화하고 권력의 정점에 서려 합니다.
지금 우리나라의 가장 심각한 적폐는 바로 이런 종교집단들입니다. 하층의 개개인들은 더할 나위 없이 선량한 국민들이지만 영역과 밥그릇을 위해서라면 이전투구도 마다 않는 교주와 떨어지는 떡고물에 눈먼 추종자들을 보고 있노라면 누가 시이비이고 이단인지 구분이 가지 않습니다.
개나 소나 구세주
'세상 이야기 > 잡학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랑은 아니지만 나름 슬기로운 소비 패턴 (0) | 2018.10.03 |
---|---|
문신 새기면 병신 됩니다. (0) | 2018.09.27 |
DIY AI 스피커 만들기 (0) | 2018.09.26 |
아마존·구글의 같은듯 다른 스마트홈 전략 (0) | 2018.09.25 |
[Case Study] 왜 가난한 사람도 아이폰을 사는가 (0) | 2018.09.15 |